응용프로그램 풀 오류로 인해 중지.

문제점 : 윈도우서버에서 웹서비스 운영중 특정 웹사이트가 아무 이유없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

             웹사이트 재시작으로는 해결이 안되며 재부팅을 해야만 해결이 됨.


오류메시지 : 

EVENT ID :1002 응용프로그램 풀에 사용되는 프로세스에서 일련의 오류가 발생했기 때문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 풀 ‘???’이(가) 자동으로 일시 중지됩니다.

해결방법 : 

구글 검색한 결과 대부분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해결을 한 것 같음.

해당 응용프로그램 풀에서 “다음 시간(분) 후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P)’ 를 체크 해제 후 모니터링하여 문제가 재발되는지 확인이 필요함.

윈도우 SNMP Service 설치 및 실행 오류

서버 : 윈도우2003 스탠다드 64비트

– 윈도우 2003 서버 구성요소중 SNMP Service 설치중 아래와 같은 메세지 발생.

“One or more services for the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component could not be started due to error ‘The service did not respond to the start or control request in a timely fashion,’.Installation will continue, but services will not be available until they are started.”

– Service.msc에서 SNMP Service 실행시 아래와 같은 메시지 발생.

“Could not start the SNMP Service service on Local Computer. Error 1053: The service did not respond to the start or control request in a timely fashion.”


해당 내용으로 구글 검색도 해보고 많이 찾아보았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였음.

혹시 몰라 C:\Windows\system32\snmp.exe 파일이 정상적인지 확인 해본 결과, 제대로된 사이즈의 파일이 들어가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여, 기존에 잘운영되고있던 서버에서 snmp.exe파일을 가져와서 적용시킴.


정상사이즈는 snmp.exe (59.5KB , 60,928byte)

IIS 웹서비스 오류 (EVENT ID : 2269)

“작업자 프로세스가 http.sys 통신 또는 w3svc 통신 레이어를 초기화하지 못했으므로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데이터 필드에 오류 번호가 있습니다.”

일단 재부팅하면 바로 복구는 가능하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아니므로, 아래 URL 참고하여 추후 재발 방지하도록 설정함.

http://support.microsoft.com/kb/896286/ko

윈도우7 에서 Windows meida plyaer 사용하기

윈도우7 에서 Windows meida plyaer 사용하기


 


윈도우7에서는 기본적으로 Windows Media Player가 내장되어있지 않아 별도의 기능팩 설치가 필요합니다.


 


Windows 7 N 서비스 팩 1 및 Windows 7 KN 서비스 팩 1용 Media 기능 팩(KB968211)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6546


 


위의 URL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해당 기능 팩을 설치해야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MSSQL 2005 SP2 스케줄러 작업 등록 오류

MSSQL 2005 SP2, 스케줄러 작업 등록시 아래와 같이 메세지가 발생하며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지 않음,


 




Unable to cast object of type ‘Microsoft.SqlServer.Management.Smo.SimpleObjectKey’ to type ‘Microsoft.SqlServer.Management.Smo.Agent.JobObjectKey’. (Microsoft.SqlServer.Smo)


 


SQL 2005 SP2 버그로, SP4로 업그래이드 하거나,


아래의 패치 파일을 검색후 설치하여 해결함.


SQLServer2005-KB936252-x64-ENU.exe

opentracker option

opentracker 사용시 WEB에서 사용하는 OPTION


http://127.0.0.1:6969/stats?mode=option


 

































OPTION


 


peer


TASK_STATS_PEERS 


conn


TASK_STATS_CONNS 


scrp


TASK_STATS_SCRAPE


udp4


TASK_STATS_UDP 


tcp4 


TASK_STATS_TCP


busy


TASK_STATS_BUSY_NETWORKS 


torr


TASK_STATS_TORRENTS 


fscr


TASK_STATS_FULLSCRAPE 





































s24s


TASK_STATS_SLASH24S 


tpbs


TASK_STATS_TPB


herr


TASK_STATS_HTTPERRORS 


completed 


TASK_STATS_COMPLETED


top100


TASK_STATS_TOP100 


top10


TASK_STATS_TOP10


renew


TASK_STATS_RENEW


syncs


TASK_STATS_SYNCS


version 


TASK_STATS_VERSION 


everything


TASK_STATS_EVERYTHING














statedump


TASK_STATS_TRACKERSTATE


fulllog


TASK_STATS_FULLLOG


woodpeckers


TASK_STATS_WOODPECKERS 

아파치 Directory Listing 차단

아파치 Directory Listing 차단을 아래와 같이 하였으나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


 


 


httpd.conf


– Options Indexes 제거


 


 


위와 같이 설정후에도 Directory Listing될 경우 아래와 같이 옵션을 주면 됩니다.


 


 


httpd.conf


Options +Includes -Indexes   로 설정하니 정상적으로 Directory Listing 차단됨.


 


 


 

mongoDB DB Drop.

mongoDB DB Drop


 







 


  mongos> use logdb;  <- 제거할 DB로 이동


  switched to db logdb


 


  mongos> db.dropDatabase()   <- 대소문자 주의하여 drop


  { “dropped” : “logdb”, “oko” : 1 }


 


 


 


SQL에서는 쉽게 하는건데 mongoDB는 생소하여 이런 기본적인 부분조차 외우기가 힘드네요 ㅠㅠ


 

PHP에서 mongoDB 사용하기

PHP RPM 설치된 환경.


 


# pecl install mongo  로 설치하면 pecl.php.net 사이트에서 mongo관련 파일을 내려받아 컴파일 하게됨.


컴파일 완료후 /usr/lib64/php/modules/mongo.so 파일이 생성됨.


 


해당 파일을 /etc/php.ini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extension=mongo.so


후에 아파치 재시작


 


phpinfo()를 통해 mongo가 제대로 로딩 되었는지 확인 후 사용

SK WIBRO CBR-510S 안드로이드 와이파이 연결 끊김.

SK WIBRO CBR-510S 를 사용중입니다.


KT WIBRO 사용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SK 와이브로는 단말기가 문제인지, 안드로이드폰으로 와이파이 연결후 일정시간 사용을 안하면 실제 핸드폰에서는 와이파이가 연결된 것으로 나오나, 단말기에서는 연결이 끊긴 상태로 유지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iOS는 정상이나, 안드로이드에서만 문제가 발생하였고, 와이브로 단말기가 문제이지 않을까 생각했으나, iOS는 문제없는걸로 봐서 단말기 문제는 아니라 생각했고 안드로이드 폰의 와이파이 환경설정을 수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설정 -> 무선 및 네트워크 -> WIFI설정 -> 옵션 -> 비정상 AP 접속해제 “체크”


 


위와 같이 설정 후 테스트 한 결과 문제없이 연결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습니다.

shading rs.initiate() 오류

mongoDB 에서 sharding 설정시,


첫번째 node를 primary로 설정시 rs.initiate()로 설정할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


 







[root@loony22-test1 mongodb]# ./mongo mongodbtest:30000
MongoDB shell version: 2.0.6
connecting to: mongodbtest:30000/test


 > rs.initiate()
{
        “info2” : “no configuration explicitly specified — making one”,
        “me” : “mongodbtest:30000”,
        “errmsg” : “couldn’t initiate : can’t find self in the replset config my port: 30000”,
        “ok” : 0
}


 






$ sudo hostname (name chosen above including the .local at the end)

LINUX에서 HOSTNAME확인후 표시되는 HOSTNAME으로 mongo 접근


[root@mongodbtest mongodb]# ./mongo hostname:30000
MongoDB shell version: 2.0.6
connecting to: hostname:30000/test
> rs.initiate()
{
        “info2” : “no configuration explicitly specified — making one”,
        “me” : “hostname:30000”,
        “info” : “Config now saved locally.  Should come online in about a minute.”,
        “ok” : 1
}
>


 


참고 URL :  http://www.mongodb.org/display/DOCS/Replica+Sets+Troubleshooting

CentOS Network Install

준비물 : CentOS-5.7-x86_64-netinstall.iso

CD넣고 부팅

1. Instsallation Method -> HTTP 선택

2. IP할당

3. 다운로드 경로 입력
   WebSite name : ftp.daum.net
   CentOS directory : centos/5.7/os/x86_64

기본적으로 FTP가 막혀있어, HTTP로 설치가 필요해 이와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설치 과정은 동일합니다.
   
 

SUBNET MASK

































































 slash subnet  slash  subnet  slash  subnet 
 /8  255.0.0.0 /16   255.255.0.0 /24   255.255.255.0
 /9  255.128.0.0 /17  255.255.128.0 /25  255.255.255.128
/10  255.192.0.0 /18  255.255.192.0 /26  255.255.255.192
/11  255.224.0.0 /19  255.255.224.0 /27  255.255.255.224
/12  255.240.0.0 /20  255.255.240.0 /28  255.255.255.240
/13   255.248.0.0 /21  255.255.248.0 /29  255.255.255.248
 /14  255.252.0.0 /22  255.255.252.0 /30  255.255.255.252
 /15  255.254.0.0 /23 255.255.254.0  /31 255.255.255.254 

nrpe compile 시 SSL Header 오류

nrpe-2.12
CentOS 5.6 32bit

nrpe 컴파일시 SSL Header를 찾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함.

./configure
..

….
checking for SSL headers… configure: error: Cannot find ssl headers

해당 문제는 openssl-devel 패키지가 없어 발생하였음.

yum install openssl-devel 로 openssl-devel 패키지 설치 후 해결

nagios compile 시 오류

nagios-3.3.1.tar.gz
OS : CentOS 5.6 32BIT

nagios 컴파일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 더 이상 컴파일을 진행할 수가 없었다.




 [root@localhost nagios]# make fullinstall
cd ././base && make install
make[1]: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make install-basic
make[2]: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bin
/usr/bin/install -c -m 774 -o nagios -g nagios nagios /usr/local/nagios/bin
/usr/bin/install -c -m 774 -o nagios -g nagios nagiostats /usr/local/nagios/bin
make[2]: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make strip-post-install
make[2]: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usr/bin/strip /usr/local/nagios/bin/nagios
/usr/bin/strip /usr/local/nagios/bin/nagiostats
make[2]: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make[1]: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base’
cd ././cgi && make install
make[1]: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make install-basic
make[2]: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bin
for file in *.cgi; do \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bin; \
        done
make[2]: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make strip-post-install
make[2]: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for file in *.cgi; do \
                /usr/bin/strip /usr/local/nagios/sbin/$file; \
        done
make[2]: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make[1]: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cgi’
cd ././html && make install
make[1]: Enter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html’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media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stylesheet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contexthelp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doc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docs/image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image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images/logo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include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includes/rss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includes/rss/extlib
/usr/bin/install -c -m 775 -o nagios -g nagios -d /usr/local/nagios/share/ssi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robots.txt /usr/local/nagios/share
rm -f /usr/local/nagios/share/index.html
rm -f /usr/local/nagios/share/main.html
rm -f /usr/local/nagios/share/side.html
for file in *.php;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 done
for file in stylesheets/*.css;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stylesheets; done
for file in contexthelp/*.html;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contexthelp; done
for file in images/*.gif;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mages; done
for file in images/*.jpg;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mages; done
for file in images/*.png;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mages; done
for file in images/*.ico;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mages; done
for file in images/logos/*.*;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mages/logos; done
for file in includes/*.*;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ncludes; done
for file in includes/rss/*; \
        do /usr/bin/install -c -m 664 -o nagios -g nagios $file /usr/local/nagios/share/includes/rss; done
/usr/bin/install: omitting directory `includes/rss/extlib’
/usr/bin/install: omitting directory `includes/rss/htdocs’
/usr/bin/install: omitting directory `includes/rss/scripts’
make[1]: *** [install] 오류 1
make[1]: Leaving directory `/root/nagios/nagios/html’

디렉토리 권한문제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configure
2. sed -i ‘s:for file in includes/rss/\*;:for file in includes/rss/\*.\*;:g’ ./html/Makefile
   sed -i ‘s:for file in includes/rss/extlib/\*;:for file in includes/rss/extlib/\*.\*;:g’ ./html/Makefile
3. make all
4. make fullinstall

위와 같이 configure 후 Makefile의 내용 수정후 다시 make시 정상적으로 컴파일을 마칠 수 있다.

윈도우 서버 관리 프로그램 mRemote

그동안 윈도우 서버에 접속하려면 윈도우 원격데스크톱(mstsc)를 사용해서 접속했었는데요.

관리하는 서버가 많다보면 mstsc를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mRemote라는 프로그램은 윈도우서버 정보를 미리 등록시켜놓고 클릭만 하면 바로 윈도우서버로 연결을 시켜주는 편리한 프로그램입니다.

SSL적용된 아파치 재시작시 비밀번호 자동으로 입력되게 하기

1. vi /etc/httpd/conf/SSL/httpdpass.sh




 #!/bin/sh
echo
‘SSL 비밀번호’
:wq

2. chmod 755 /etc/httpd/conf/SSL/httpdpass.sh

3. vi ssl.conf
SSLPassPhraseDialog  exec:/etc/httpd/conf/SSL/highpass.sh

PHP 컴파일

아파치 worker 컴파일하면서 같이 진행한 php 컴파일입니다.





 #!/bin/sh
#####################################
# Build Configure
#buildconf: autoconf version 2.13 (ok)
#buildconf: automake version 1.5 (ok)
#buildconf: libtool version 1.4.3 (ok)
#####################################
#rm configure
#rm buildmk.stamp
#./buildconf
#./configure –help | grep xecure
#./configure –help | grep sso


#####################################
# Clean
#####################################
rm config.cache
make clean
make -dist clean


#####################################
# Confiugre Make Make Install(DSO)
#####################################
./configure \
–with-apxs2=/usr/local/apache2/bin/apxs \
–with-mysql=/usr/bin \
–with-libdir=lib64 \
–with-freetype-dir \
–with-zlib-dir \
–with-jpeg-dir \
–with-gd \
–with-openssl \
–with-mime-magic \
–with-oci8=instantclient,/usr/lib/oracle/10.2.0.3/client64/lib \
–with-config-file-path=/usr/apache2/conf \
–disable-debug \
–with-xml \
–enable-soap \
–enable-sockets \
–enable-mbstring \
–enable-bcmath \


make
make install

아파치 Worker 컴파일

아파치 Worker 컴파일

– 기본적으로 RPM으로 아파치를 설치하게되면 기본설정이 prefork입니다.
   prefork 말고 아파치에서 worker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아파치 컴파일을 진행하였습니다.

httpd-2.2.17.tar
OS : RHEL5.5 64BIT

/httpd-2.2.17/server/mpm/worker/worker.c




  – 아래 부분 수정
#Ifndef DEFAULT_SERVER_LIMIT
#define DEFAULT_SERVER_LIMIT 16 -> 128 <= 변경
#endif

위의 부분만 설정 후 컴파일을 하면 됩니다.




 ./configure \
 –prefix=/usr/local/apache2 \
 –enable-so \
 –enable-ssl \
 –with-mpm=worker \

make
make install

컴파일후
/usr/local/apache2/bin/apachectl -V를 입력하면 worker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ver version: Apache/2.2.17 (Unix)
Server built:   Apr  5 2011 12:21:49
Server’s Module Magic Number: 20051115:25
Server loaded:  APR 1.4.2, APR-Util 1.3.10
Compiled using: APR 1.4.2, APR-Util 1.3.10
Architecture:   64-bit
Server MPM:     Worker
  threaded:     yes (fixed thread count)
    forked:     yes (variable process count)
Server compiled with….
 -D APACHE_MPM_DIR=”server/mpm/worker”
 -D APR_HAS_SENDFILE
 -D APR_HAS_MMAP
 -D APR_HAVE_IPV6 (IPv4-mapped addresses enabled)
 -D APR_USE_SYSVSEM_SERIALIZE
 -D APR_USE_PTHREAD_SERIALIZE
 -D SINGLE_LISTEN_UNSERIALIZED_ACCEPT
 -D APR_HAS_OTHER_CHILD
 -D AP_HAVE_RELIABLE_PIPED_LOGS
 -D DYNAMIC_MODULE_LIMIT=128
 -D HTTPD_ROOT=”/usr/apache2″
 -D SUEXEC_BIN=”/usr/apache2/bin/suexec”
 -D DEFAULT_SCOREBOARD=”logs/apache_runtime_status”
 -D DEFAULT_ERRORLOG=”logs/error_log”
 -D AP_TYPES_CONFIG_FILE=”conf/mime.types”
 -D SERVER_CONFIG_FILE=”conf/httpd.conf”

Worker 환경설정
/usr/local/apache2/conf/extra/httpd-mpm.conf




 # worker MPM
# StartServers: initial number of server processes to start
# MaxClients: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client connections
# MinSpareThreads: minimum number of worker threads which are kept spare
# MaxSpareThreads: maximum number of worker threads which are kept spare
# ThreadsPerChild: constant number of worker threads in each server process
# MaxRequestsPerChild: maximum number of requests a server process serves
<IfModule mpm_worker_module>
    StartServers          2
    MaxClients          150
    MinSpareThreads      25
    MaxSpareThreads      75
    ThreadsPerChild      25
    MaxRequestsPerChild   0

상황에 맞게 위의 수치를 변경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PHP 컴파일 시 configure: error: Cannot find libmysqlclient under 오류

OS : RHEL 5.5
apache : worker

php 컴파일시 다음과 같은 오류 발생시

checking for specified location of the MySQL UNIX socket… no
checking for MySQL UNIX socket location… no
configure: error: Cannot find libmysqlclient under /usr.
Note that the MySQL client library is not bundled anymore!
make: *** No targets specified and no makefile found.  Stop.
make: *** No rule to make target `install’.  Stop.

–with-mysql=/usr/bin \
–with-libdir=lib64 \

설정후 재컴파일 하여 성공하였습니다.
상황에 따라 틀리겠지만 참고하면 좋을것같습니다.

윈도우7에서 삼바 연결시 속도 느린 현상

윈도우7에서 삼바 연결시 속도 느린 현상

시작 -> gpedit.msc 실행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 구성 -> Windows 설정 -> 보안 설정 -> 로컬 정책 -> 보안 옵션

–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 타사 SMB 서버에 암호화되지 않은 암호 보내기 (사용)
– 네트워크 보안 : LAN Manager 인증 수준 (LM 및 NTLM 보내기 – 협상되면 NTLMv2 세션 보안 사용(& ) )

위와 같이 정책을 변경하면 빠른 속도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윈도우7 홈프리미엄 이하버전의 경우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없으므로 http://pips.wo.tc/191 사이트를 참조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VMWARE 에서 LINUX 부팅시 unknown key ‘SUBSYSTEMS’ 오류

Starting udev: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SUBSYSTEMS’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ATTRS{vendor}’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ATTRS{model}’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SUBSYSTEMS’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ATTRS{vendor}’
udevd[572]: add_to_rules: unknown key ‘ATTRS{model}’

위와 같은 메세지가 발생하며 더이상 부팅 진행이 안될때, ctrl+c 키로 부팅은 계속 진행할 수 있음.

http://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1023898

에버 EV-F110 개봉기

특가로 나온 KTF 3G 핸드폰을 하나 개통하였습니다.

사은품 5만원 증정, 요금제 자유, 부가서비스  무, 가입비 면제, 유심 무, 3개월 의무 사용의 조건으로
가입했습니다.

3개월만 사용하고 해지 후, 공폰으로 간직하려구요 ^^ 

핸드폰 기종은 EV-F110 이구요, 쿡앤쇼 모델로 WIFI를 지원하여, 인터넷망을 통한 인터넷전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봉 전 사진 입니다.

라벨을 보니 이중씰이네요..

한번 뜯었다가 다시 재부착한 상품으로 꺠끗한 폰은 아니네요.
뭔가 냄새가 나는 핸드폰이지만, 조건이 좋으니까 그냥 사용하기로 합니다.


살짝 위의 라벨만 벗겨보니 역시나 한번 개봉했었던 폰입니다.


개봉후 기본 구성품입니다.


설명서, 이어폰, 통합10pin 젠더, 배터리 2개, 충천 크래들 이런 형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스마트폰만 사용하다 오랜만에 폴더 형 핸드폰을 사용하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

rpm db 갱신 방법

rpm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 rpm –rebuilddb 해서 해결이 되면 ok

그래도 안되면 rm -f /var/lib/rpm/__db* 삭제하고

vi /etc/rpm/macros 에 %_dbi_cdb create cdb private mpool mp_mmapsize=16Mb mp_size=1Mb
내용입력하고

rpm –rebuilddb 하면 새로 rpmdb를 생성

PHP5에서 domxml 사용시 오류


Fatal error
: Call to undefined function domxml_open_mem()

php5에서 domxml 사용시 일부 함수 적용이 정상적으로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php4에서 사용하던 일부 함수가 php5로 올라가면서 제거된 경우 이며, 이경우 아래의 사이트에서 관련된 라이브러리파일을 받아서 include 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domxml_open_mem()함수가 필요했었고, php5를 사용중이었습니다.
phpinfo()로 봤을때 domxml관련된 정보가 전부 enable되어 있었으나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검색한 결과 php5에서 제거된 함수였습니다”

http://alexandre.alapetite.fr/doc-alex/domxml-php4-php5/index.en.html

Cron 실행시 root 에게 메일 보내지 않도록 설정


1. crontab 에 등록된 동작 실행시 root에게 메일 보내지 않도록 설정

/etc/crontab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
HOME=/

위와 같이 설정하면 발생하는 모든 CRON은 메일로 보내지지 않게 됩니다.

2. crontab 에 등록된 일부 동작에만 root에게 메일 보내지 않도록 설정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일부만 메일로 보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etc/crontab
00 05 * * * /root/bin/sync.sh > /dev/null 2>&1

설정후 크론데몬 재시작
service crond restart

Sendmail 다른 메일서버로 Relay 걸기


Sendmail로 메일을 보낼 때 25번 포트가 오픈이 안되거나, 제한적인 경우 내부에 있는 다른 메일서버로 Relay를 걸어 발송할 수 있습니다.

[설정방법]
/etc/mail/sendmail.cf


# “Smart” relay host (may be null)
DS [mail.domain.co.kr]


RELAY 메일 서버의 주소를 위와 같은 위치에 적어줌으로써 문제가 해결됩니다.
작업을 마친 후 Sendmail 을 재시작하면 Relay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 메일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만 메일을 발송하도록 제한을 걸었두었다면 아래의 작업도 추가해주어야 정상적으로 메일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etc/php.ini
; For Unix only.  You may supply arguments as well (default: “sendmail -t -i”).
sendmail_path = /usr/sbin/sendmail -t -i -fusermail@domain.ac.kr


위와 같이 php.ini에 설정을 한후 httpd를 재시작하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SSH 접속시 오류 메세지 종류

1. No route to host
   -> 접속대상이 없거나, iptable로 차단하였을 경우

2. Connection refused
   -> ssh 서비스가 동작중이지 않거나, 다른 포트로 운영되는 경우

3. Connection closed by remote host
   -> tcp_wrapper로 막아놓은 경우

VI 에디터 색깔 안나올때..

리눅스 설치 후 VI 에디터에서 색이 안나올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vim-enhanced 를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시고, 만약 설치가 안되어있으면 설치를 합니다.

vi /etc/profile.d/vim.sh 파일을 열어
[‘/usr/bin/id -u’ -le 100] && return < 이부분을 주석처리 합니다.

그리고 로그아웃 후 재 접속하시면 색깔이 표시됩니다.

 

윈도우2008 서버 설치시, 비밀번호 지정오류, 암호를 업데이트할 수 없습니다.

윈도우 2008 서버 설치후, 최초 로그인시, Administrator의 비밀번호를 지정해야 접근이 가능합니다.

평상시 처럼 비밀번호를 입력 지정해서 로그인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오류 메세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암호를 업데이트할 수 없습니다. 새로운 암호로 제공된 값이 길이, 복잡도나 이전 기록과 같은 도메인이 요구하는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몇번의 삽질끝에.. 알아낸 결과,

비밀번호를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 비밀번호 지정이 가능합니다.
영문4글자이상,숫자2개이상,특수문자2개이상의 문자가 입력되어야 비밀번호 지정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2008 서버 설치시 참고하세요~